Skip Menu

백인제기념임상의학연구소

본 연구소는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임상교수들이 연구를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필요한 연구 공간, 시설, 기반 등을 제공하여, 중개연구 중심 연구역량을 강화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중개연구 중심의 신진연구자 및 중견연구자 풀을 확대하고자 한다. 더불어 중개연구 중심의 연구능력을 강화하여 향후 인제대학교 부속 백병원이 연구중심병원으로의 전환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자 한다.

  • 기관장
    이정구
  • 연락처
    TEL. 051-890-6430FAX. 051-894-6709
  • 이메일
  • 위치
    부산광역시 진구 개금동 복지로 75 인제의대 7층

운영

  • 임상에 활용할 수 있는 중개연구를 중점적으로 지원 및 장려
  • 매년 벤치분양과 연구기자재, 연구자원 지원을 통해 신진연구자를 발굴하고 육성
  • 중견연구자는 신진연구자를 지원함으로서 공동연구, 자원 및 기술 자문을 통해 중개 연구 활성화
  • 연구행정 지원을 통해 연구자의 연구 집중도를 높여주고, 꾸준한 정보 제공
  •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특허 출원 독려 및 산학협력 체제 구축
  • 특성화 분야의 교육 환경 성숙화 및 관련된 신지식의 도입 장려
  • 세계적인 연구소와 협력 체계 구축 및 공동연구 기회 확대
  • 관련분야의 연구팀 유치, 협력관계 강화

연혁

1992

  • 03.01.

    중앙의학연구소에 뇌신경연구실(신경과학연구소 전신) 개설

1994

  • 06.01.

    인제대학교 부설 이식연구소 설립. 초대소장 백계형 교수

1995

  • 07.01.

    신경과학연구소 설립

    초대소장 김영훈 교수

  • 06.01.

    인제대학교 부설 백인제기념연구소로 명칭 변경

1996

  • 06.01.

    미국 샌디에고 연구소 설립

1998

  • 08.19.

    말라리아 연구소 설립

    초대소장 고원규 교수

1999

  • 10.29.

    말라리아연구소 Osaka Institute of Technology 공동연구 체결

2000

  • 01.31.

    말라리아연구소 LG 화학 기술원과 공동연구 체결

2001

  • 09.19.

    새로운 진단방법에 대한 기술이전 협약식. (주)바이오니아와 공동연구 결의

  • 08.20.

    제1회 백인제기념연구소 Biomedical Workshop 개최

  • 05.25.

    말라리아연구소 새로운 진단법 개발 발표

2002

  • 11.07.

    말라리아연구소 일본 International Medical Center와 공동연구 체결

  • 11.01.

    신경과학연구소 제 7회 인제 정신의학 학술대회 "Tardive dyskinesia"

  • 05.06.

    (주)바이오니아와 공동으로 말라리아진단 kit 시제품 출시

2003

  • 12.28.

    제2회 PICR 학술대회 개최 (Approach of Basic Research in the Clinical Field)

  • 09.03.

    개소식 및 창립기념 제1회 PICR 학술대회 개최

  • 09.01.

    2003년 백인제기념임상의학연구소 연구부 지원 사업 과제 선정 (6편)

  • 04.01.

    백인제기념연구소, 신경과학연구소, 말라리아연구소의 3개 연구소가 백인제기념임상의학연구소로 통합

    초대소장 김영훈 교수 취임

2004

  • 11.18.

    제3회 PICR 학술대회 개최 (경희의대 김성수 교수 외)

  • 09.01.

    2004년 백인제기념임상의학연구소 연구부 지원 사업 과제 선정 (4편)

2005

  • 12.01.

    제4회 PICR 학술대회 개최 (UPDATE in DIABETES MELLITUS)

  • 09.01.

    2005년 백인제기념임상의학연구소 연구부 지원 사업 과제 선정 (7편)

2006

  • 12.19.

    제5회 PICR 학술대회 개최 및 연구소 연구활동 보고회

  • 03.01.

    2006년 백인제기념임상의학연구소 지정연구부 벤치 분양 (8개)

2007

  • 12.18.

    제6회 PICR 학술대회 개최 및 연구소 연구활동 보고회

  • 09.01.

    제2기 백인제기념임상의학연구소 운영위원회 출범

  • 04.01.

    제2대 PICR 소장 비뇨기과 민권식 교수 취임

  • 03.01.

    2007년 백인제기념임상의학연구소 지정연구부 벤치 분양 (7개)

2008

  • 09.24.

    개소 5주년 기념 제 7회 PICR 학술대회 개최 (차세대 바이오 신약 연구 동향)

  • 03.01.

    2008년 백인제기념임상의학연구소 지정연구부 벤치 분양 (7개)

2009

  • 12.17.

    제8회 백인제기념임상의학연구소 학술대회 및 연구소 연구활동 보고희 개최

  • 12.01.

    백인제기념임상의학연구소 말라리아연구부가 감염질환 및 말라리아연구부로 명칭 변경

  • 09.01.

    제3기 백인제기념임상의학연구소 운영위원회 출범

  • 04.01.

    제3대 PICR 소장 병리과 양영일 교수 취임

  • 03.01.

    2009년 백인제기념임상의학연구소 지정연구부 벤치 분양 (7개)

2010

  • 12.02.

    제9회 백인제기념임상의학연구소 학술대회 및 연구소 연구활동 보고희 개최

  • 03.01.

    2010년 백인제기념임상의학연구소 지정연구부 벤치 분양 (8개)

2011

  • 03.01.

    2011년 백인제기념임상의학연구소 지정연구부 벤치 분양 (7개)

2012

  • 06.29.

    제11회 백인제기념임상의학연구소 학술대회 개최

  • 03.01.

    2012년 백인제기념임상의학연구소 지정연구부 벤치 분양 (7개)

2013

  • 11.15.

    백인제기념임상의학연구소 개소 10주년 기념 심포지엄 개최

  • 03.01.

    2013년 백인제기념임상의학연구소 지정연구부 벤치 분양 (7개)

2014

  • 11.07.

    제13회 백인제기념임상의학연구소 학술대회 개최

  • 03.01.

    2014년 백인제기념임상의학연구소 지정연구부 벤치 분양 (7개)

2015

  • 12.04.

    제14회 백인제기념임상의학연구소 학술대회 개최

  • 08.01.

    제4대 PICR 소장 진단검사의학과 신정환 교수 취임

  • 03.01.

    2015년 백인제기념임상의학연구소 지정연구부 벤치 분양 (6개)

2016

  • 12.16.

    제15회 백인제기념임상의학연구소 학술대회 개최

  • 03.01.

    2016년 백인제기념임상의학연구소 지정연구부 벤치 분양 (7개)

2017

  • 12.22.

    제16회 백인제기념임상의학연구소 학술대회 개최

  • 08.01.

    제5대 PICR 소장 마취통증의학과 정순호 교수 취임

  • 03.01.

    2017년 백인제기념임상의학연구소 지정연구부 벤치 분양 (7개)

2018

  • 12.21.

    제17회 백인제기념임상의학연구소 학술대회 개최

  • 03.01.

    2018년 백인제기념임상의학연구소 지정연구부 벤치 분양 (7개)

2019

  • 08.01.

    제6대 PICR 소장 병리과 양영일 교수 취임

  • 03.01.

    2019년 백인제기념임상의학연구소 지정연구부 벤치 분양 (6개)

2020

  • 03.01.

    2020년 백인제기념임상의학연구소 지정연구부 벤치 분양 (6개)

2021

  • 03.01.

    2021년 백인제기념임상의학연구소 지정연구부 벤치 분양 (7개)

2022

  • 03.01.

    2022년 백인제기념임상의학연구소 지정연구부 벤치 분양 (7개)

2023

  • 03.01.

    2023년 백인제기념임상의학연구소 지정연구부 벤치 분양 (7개)

  • 09.01.

    제7대 PICR 소장 정신건강의학과 이정구 교수 취임

2024

  • 03.01.

    2024년 백인제기념임상의학연구소 지정연구부 벤치 분양 (7개)

구성 및 조직

주요업무

  • 임상의학연구의 활성화
  • 기초와 임상 공동연구추진

약물유전체연구센터

한국인의 약물유전체 특성 및 약물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후천적 요인들을 규명하고맞춤약물요법의 임상적용을 위한 약물유전체 데이터베이스 및 관련 기술을 구축한다.

  • 연락처
    TEL. 051-890-6415
  • 위치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복지로 75(개금동)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약물유전체연구센터 행정실

연혁

2003

  • 01.

    약물유전체연구센터 (PGRC, PharmacoGenomics Research Center) 설립

  • 05.

    약물유전체연구센터 개소

  • 06.

    과학기술부 국가지정연구실(연구실명 : 약물유전체연구실)로 지정 연구책임자 : 신재국 교수

  • 09.

    보건복지부 약물유전체사업단 약물대사유전체 연구센터 지정 연구책임자 : 차인준 교수

2004

  • 02.

    보건 복지부 약물대사유전체연구센터 개소식

  • 제1차 약물유전체 국제 심포지엄 (Pharmacogenomics : A Step Toward Personalized Medicine)

  • 인디아나 대학교와의 교류 협정 체결

  • 03.

    대우약품(주)과의 산학협력 체결

  • 디지탈지노믹스(주)와의 산학협력 체결

  • 04.

    바이넥스(주), 일양약품(주)과의 산학협력 체결

  • 05.

    중남대학교(Institute of Clinical of Pharmacology)와의 교류협정 체결

  • 07.

    유한양행(주)과의 산학협력 체결

  • 11.

    부산지놈센터와의 학술 / 연구 교류 협정 체결

2005

  • 05.

    부산지역 BT 지원기관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상호협력 협약 체결(부산지역 17개 기관)

  • 10.

    제1차 인제대학교 약물유전체연구센터 / 중국 중남대학교 약물유전학 연구소와의 공동 심포지움

  • 11.

    중국 중남대학교와의 연구교류협정 체결

2006

  • 02.

    2006 약물유전체학 국제심포지움 개최 (Pharmacogenomics : A Step Toward Personalized Medicine)

  • 05.

    국립독성연구원(KNTP)과의 연구교류협정 체결

  • 10.

    제 2차 인제대학교 / 중남대학교와의 공동심포지움

2007

  • 02.

    대한약리학회 동계학술대회 개최

  • 05.

    과학기술부 기초의과학연구센터 선정 (맞춤약물요법을 위한 생체지표연구센터)

  • CJ 제약연구소와의 산학협력 체결

  • 06.

    디지탈지노믹스(주)와의 기술이전 체결

  • 11.

    제 3차 인제대학교 / 중남대학교와의 공동심포지움 개최 (중국)

2008

  • 04.

    2008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harmacogenomics 개최, 한/중/홍조인트 컨퍼런스 및 약물유전체학 아시아 연구자모임 개최

  • 05.

    센터 개소5주년 기념행사

  • 07.

    UCDavis 유전체센터 대사체연구실 학술연구교류협정 체결

  • 09.

    국립마산병원 및 국제결핵연구센터와 진료 및 연구협력 체결

  • 10.

    기초의학교실 설명회(기초의학 : 21세기 첨단의료의 산실) 개최

  • 11.

    제60차 대한약리학회 추계 학술대회 개최

2009

  • 07.

    교육과학기술부 지정 맞춤치료를 위한 생체지표연구센터 개소식

  • 인제대학교 개교 · 부산백병원 개원 30주년 기념 학술 심포지움 개최

  • 10.

    맞춤치료를 위한 생체지표연구센터-병역특례 전문 연구기관 선정

  • 12.

    교육과학기술부 기초의과학연구센터 성과발표회 개최

2010

  • 02.

    인제대학교 방재연구센터 주최 안전환경 우수 연구실 선정

  • 12.

    2010년 국가연구개발사업 우수성과 100선 선정

2011

  • 07.

    보건복지부 차세대 맞춤의료유전체사업단 약물대사유전체연구센터 유치 (센터장 : 신재국)

2013

  • 02.

    2013년도 약물유전체 국제심포지움 개최

  • 04.

    신약개발 심포지움 개최

  • 06.

    신의료기술인증 등록 : CYP2D6 돌연변이 단일염기확장 검사법 (SNaPshot)

  • 10.

    보건복지부 국가임상시험사업단 글로벌 임상시험 선도센터 유치 (센터장 : 신재국)

2014

  • 02.

    2014년도 약물유전체 국제심포지움 공동 개최

  • 03.

    품의약품안전평가원과 약물유전체연구 및 개인맞춤약물 분야 상호협력을 위한 업무협력 체결

  • 11.

    인제의대 약리학교실 / 약물유전체연구센터와 부산백병원 임상약리학과 / 임상시험센터 통합 워크샵 개최

2015

  • 02.

    2015년도 약물유전체 국제심포지움 공동 개최 (서울의대)

  • 12.

    보건복지부 포스트게놈 다부처 유전체 사업 임상이행연구 과제 선정 (책임자 : 신재국)

2016

  • 06.

    2016 제11차 세계약물연구학회 국제학술대회(ISSX) 개최

  • 08.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특성분석센터와 연구협력체결

  • 11.

    베트남 하이퐁 의약대학교와 연구협력 협약 체결

2017

  • 03.

    서울아산병원 비임상 개발센터와 연구협력 협약 체결

  • 인제의대 약물유전체연구센터-(주)에스피메드 컨소시엄, 2017년도 지역특화기술개발/확산 개방형 연구실 운영사업 지원과제 선정 (책임자 : 신재국, 신호정)

  • 12.

    1st Asian Symposium on Precision Dosing 심포지엄 개최

2018

  • 05.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선도연구센터 의약학(MRC) 결핵 정밀맞춤치료 선도연구센터 선정 (책임자 : 신재국)

2019

  • 04.

    인도네시아-Tuberculosis International Meeting 초청강연(신재국)

  • 05.

    인제의대 개교 40주년 기념 및 결핵 정밀맞춤치료 선도연구센터 개소 기념 국제 심포지엄 개최

  • 09.

    (주)에스피메드와 연구협력 협약 체결

  • 태국 보건부 연구자 센터 방문 및 자문미팅

  • 인도네시아 The 8th SEAPHARM meeting & GENOMIC Medicine Conference(GMC) 2019 초청강연(신재국)

  • 미얀마 결핵 연구자 교류

  • 10.

    중국 상해 2019 Seventeenth Annual Academic Conference of Shanghai Associ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초청강연(신재국)

  • 11.

    미국 결핵 연구자 교류

  • 베트남 Hanoi Medical University 초청강연(신재국)

2020

  • 01.

    미얀마 National Poison Control Centre Department of Medical Research 초청강연(신재국)

  • 태국 공동연구기관 방문 및 세미나

2022

  • 02.

    미얀마-한국 합동 심포지움 초청강연(신재국)

  • 07.

    인도네시아 공동연구기관 방문 및 자문미팅

  • 11.

    베트남 공동연구기관 방문 및 자문미팅

  • 베트남 호치민 약학대학과 공동연구를 위한 MOU 체결

2023

  • 05.

    태국 44회 Pharmacological and Therapeutic Society of Thailand Annual Meeting 초청강연(신재국)

  • 07.

    베트남 22회 ACCP 초청강연(신재국)

  • 08.

    베트남 Ton Duc Thang 대학교 초청강연(신재국)

  • 11.

    대만 FAPA 2023 in Taiwan 초청강연(신재국)

2024

  • 01.

    베트남 하이퐁대학교 연구자 센터 방문 및 자문미팅

  • 08.

    베트남 호치민 약학대학 방문 및 자문미팅

  • 10.

    대만 타이베이 메디컬 대학병원 방문 및 자문미팅

구성 및 조직

주요사업(활동)

  • 약동학적 약물유전체 연구 및 한국인에 적합한 약물용법 예측 기술개발
  • 주요 약물들의 약력학적 약물유전체 연구 및 새로운 약물작용점 도출
  • 약물대사 및 약물상호작용 연구
  • 약물반응 관련 단백질체의 발현 양상 조절 연구
  • 약물반응 역학 연구
  • 천연물로부터 암 발생억제 화학예방물질 도출 및 천연물 신약개발
  • 한국인 약물유전체 자료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진단기술 개발
  • 약물유전체연구의 임상응용기술 및 임상적용을 위한 소프트웨어개발(환자진료에 접목)
  • 유전형을 고려한 약물요법의 유용성 평가
  • 약물유전체 관련분야의 전문 인력 양성
  • 화학유전체 연구를 이용한 신약개발

연구협력/지원

  • 의료기관
    • 맞춤약물요법 기술
    • 유전형 분석
  • 제약기업 / BT 기업
    • 임상시험 지원
    • 신약개발 과정 기술 제공 및 비임상시험 지원
    • 신약개발 자문/상담
  • 국내·외 약물유전체 네트워크 구축

연구개발

  • 약물유전체 DB 구축
  • 유전자진단기술 개발
  • 신약후보물질 도출
  • 임상시험기반기술 개발
  • 맞춤약물요법 기술 개발 및 유용성 검정

인력양성

  • 약물유전체 및 신약개발 관련 연구인력 양성
  • 올바른 약물사용에 대한 일반인 교육
  • 심포지엄 및 초청 강연 개최
  • 국제협력 연구체계 구축
다발골수종 전문센터 소개

다발골수종 전문센터

노인인구에서 호발하고 있는 다발골수종은 고령화 사회에서 새로운 의료문제로 대두되고 있음. 현재까지 항암제 치료와 자가/동종 조혈모세포 이식이 주로 치료에 사용되고 있으나 완치율이 낮으며, 재발이 잘 되어서 새로운 치료법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임. 최근에 암세포에서 발현이 증가되어 있는 면역억제 단백질인 체크포인트 단백질(immune checkpoint)을 표적으로 하는 항체치료제가 다양한 고형암 암환자의 치료반응율 (ORR) 및 전생존율 (OS)을 현저히 향상시킨다는 임상결과들이 보고되고 있음.

본 센터에서는 새로운 면역체크포인트를 발굴하고 이를 표적으로 하는 면역체크포인트 저해제를 개발하여 다발골수종 및 여러 고형암에 대한 면역치료법을 개발하고자 함.

연혁

2004

  • 03.

    면역기능조절연구센터 설립

  • 04.

    초대 센터장에 최인학 교수 발령

  • 05.

    이수웅 박사가 센터의 전임교수로 발령

  • 인제대학교 면역기능조절연구센터 개소

2005

  • 01.

    바이러스질환 연구센터로 명칭 변경

2006

  • 04.

    제2대 소장에 최인학 교수 발령

2008

  • 04.

    제3대 소장에 최인학 교수 발령

2009

  • 05.

    보건복지부 암전문센터사업에 선정되면서 명칭을 '다발골수종전문연구센터'로 변경 (9년간 45억 연구비)

2014

  • 07.

    미국 화이자(Pfizer)와 면역체크포인트 저해제 공동 개발을 위한 첫 모임

2016

  • 05.

    미국 화이자와 CTI(Centers for Therapeutic Innovation) 계약을 체결함.

  • 09.

    미국 화이자와 SOW(Statement of Work) 체결하고 본격적인 면역체크포인트 저해제 공동개발을 시작함. 5 ~ 6년 개발후 임상시험을 목표로 함.

2018

  • 03.

    정자영 박사가 센터의 전임교수로 발령

구성 및 조직

주요사업(활동)

  • 면역조절 공동신호분자의 발굴 및 특성규명
  • 암질환동물모델 개발
  • 항체 및 생체활성 물질 연구
  • 종양에 대한 항종양면역 기전 연구
  • 암유전체 빅데이터 분석틀 개발

심혈관 및 대사질환연구센터

심혈관계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기초학적 연구와 임상학적 연구를 유기적으로 수행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심혈관 및 대사 질환 환자들의 삶의 질을 높이고 수명을 늘이기 위한 새로운 치료방법과 예방책을 수립하고자 한다.

연혁

2006

  • 03.

    인제대학교 부설연구소 심혈관 대사질환센터 설립,소장 한진 취임

  • 06.

    인제대학교 Frontier Inje Research for Science and Technology 프로젝트 선정

2007

  • 07.

    교육과학기술부 지정 국가지정연구실(NRL) 선정 (연구책임자 : 한진)

2008

  • 05.

    교육과학기술부 지정 국가지정연구실(NRL) 선정(연구책임자 : 신정욱)

2009

  • 01.

    2008년도 인제대학교 연구소 평가 (A등급)

2010

  • 01.

    2009년도 인제대학교 연구소 평가 (A등급)

  • 09.

    교육과학 기술부 지정 이공분야 중점연구소 선정 (연구책임자 : 한진)

2011

  • 03.

    KHUPO 국제 단백질학회 컨퍼런스 개최

  • 08.

    제 9회 한일 혈관학회 공동 심포지엄 개최

  • 09.

    교육과학 기술부 도약연구 지원사업 선정 (연구책임자 : 김나리)

  • 10.

    제 14회 보문학술대회 개최

2012

  • 09.

    교육과학 기술부 도약연구 지원사업 선정 (연구책임자 : 한진)

  • 10.

    조교수 이성률, 김형규 발령

  • 제 64회 대한생리학회 개최

2013

  • 08.

    제 11회 한일 혈관학회 공동 심포지엄 개최

  • 10.

    제 16회 보문학술대회 개최

  • 11.

    한-러 공동 심포지엄 개최

2014

  • 03.

    제14차 KHUPO 국제 프로테오믹스 학술대회 개최

  • 04.

    센터장 한진 교수 부산과학기술상 수상

  • 05.

    대한미토콘드리아연구 의학회-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학회 개최

  • 06.

    러시아 Pacific Institute of Bioorganic Chemistry 와 MOU 체결

  • 07.

    국제기관간 MOU 지원사업 선정 (연구책임자 : 한진)

  • 10.

    센터 조교수 김형규, 대한생리학회 신진생리학자상 수상

  • 센터장 한진 교수, 보문학술대회 Best Miso Award 수상

  • 11.

    혈관학회 창립학술대회 개최

  • Korean Russia Joint Symposium 개최

2015

  • 06.

    국가연구개발사업 / 원천기술 개발사업 선정 (연구책임자 : 김나리)

  • 한국연구재단 개인기초연구 사업선정 (연구책임자 : 이성률)

  • 08.

    베트남 국립대-하노이과학대와 MOU 체결

  • 10.

    Pfluger's Symposium, 개최

  • 11.

    한국연구재단 개인기초연구 사업선정 (연구책임자: 김형규)

  •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단 개소기념 ACT심포지엄 개최

  • 12.

    제2회 BRAVO(Breast cancer associated valued opinions) FORUM 개최

2016

  • 03.

    16th Annual International Proteomics Conference 개최

  • 05.

    중점연구소 2단계 평가 '최우수 등급' 3단계 진입

  • 06.

    IMPACT(Intergrative Medicine: Physical Activity is a CoreTip) 2016 Symposium 개최

  • 07.

    2016 제26회 과학기술 우수논문상(이성률)

  • 08.

    88서울올림픽기념 국제스포츠과학 학술대회 구두발표 우수상(서대윤)

  • 12.

    2015년도 학술연구지원사업 우수성과 표창장(한진)

  • 동아 에스티 연구비 수혜 (연구책임자 : 원종철)

2017

  • 03.

    개인기초연구지원 사업 선정 (연구책임자: 김민)

  • 04.

    동남권 바이오메디컬 리더스 포럼 개최

  • 05.

    KSBMB International Conference 2017 개최

  • 06.

    KORUS(Korea-Russia Joint Symposium) 2017 개최

  • PIBOC, CMDC, IUCM, IUBBH 한-러 MOU체결

  • 한국연구재단 연구비 수혜 (연구책임자 : 조성우)

  • 08.

    BISTEP 기획연구회지원사업 선정 (연구책임자 : 한진)

  • 09.

    레고켐 바이오사이언스 신약개발 공동연구사업 수행 (연구책임자 : 한진)

  • 11.

    IMPACT(Intergrative Medicine: Physical Activity is a Core Tip) 2017 Symposium 개최

  • 한-러시아 과학기술 공동연구사업 선정 (연구책임자: 한진)

2018

  • 01.

    인제학술상 수상 (한진)

  • 03.

    러시아 N.D. Zelinsky Institute of Organic Chemistry (ZIOC) 와 MOU 체결

  • 05.

    한국연구재단 신진연구자 지원사업 선정 (연구책임자 : 서대윤)

  • 06.

    한국연구재단 개인기본연구사업 선정 (연구책임자 : 서대윤)

  • 08.

    한국연구재단 중견연구(보호, 육성분야) 과제 선정 (연구책임자 : 한진)

  • 11.

    한국연구재단 이공학개인기초 후속 과제 선정 (연구책임자 : 김형규)

  • 아시아 미토콘드리아 연구 의학회 국제학술대회 개최

2019

  • 04.

    생명공학연구원 미래형동물자원센터 MOU 체결

  • 05.

    KORUS(Korea-Russia Joint Symposium) DREAM 2019 개최

  • 07.

    이공분야중점연구소 종료 평가 'S' 등급

  • 08.

    헥사바이오 업무협약 체결

업무

  • 미토콘드리아 기능이상 관련 유전자, 단백질 탐색 및 검증
  • 미토콘드리아 타겟 약물전달시스템을 활용한 질병-병소 특이적 유전자치료 기반 구축
  • 미토콘드리아 기능조절을 통한 최적 질병치료 전략 도출
  • Mitochondrial ion channel gene discovery
  • 심장보호기전에서의 미토콘드리아 이온통로의 역할 규명
  • 관상동맥 이온채널 & 미토콘드리아 이온채널
  • 미토콘드리아 통합 심근세포 모델 개발 방법
  • 운동에 의한 미토콘드리아 생리의 변화
  • 당뇨병성 심근병증 원인규명 및 치료법 개발
  • 해양 천연물 기반 심혈관질환 치료제 개발

주요 연구 사업

심혈관 및 대사질환연구센터의 주요 연구 사업 No, 주요사업명, 주요사업내용, 기간에 대한 안내표입니다.
No. 주요사업명 주요사업내용 기간
1 중점연구소 사업 - 심혈관 및 대사질환센터 미토콘드리아 기능조절 질병치료 전략의 수립 및 개발 2010 ~ 2019
2 도약연구사업 생체역학기반 심장-대동맥 통합 다중스케일 모델 개발 2011 ~ 2016
3 원천기술개발사업 생체모사 기반 미세물리적 환경이 유도만능줄기세포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2012 ~ 2017
4 도약연구사업 미토콘드리아 기능조절을 통한 심부전 치료기전 개발 2012 ~ 2018
5 국제기관간 MOU 지원사업 미토콘드리아 기반 생리 활성물질 발굴 2014 ~ 2016
6 지역혁신창의인력양성사업 나노입자를 이용한 약물 용출형 창상치유용 의료기기 기술개발 및 맞춤형인력양성 2014 ~ 2016
7 한중핵심공동연구사업 골재생 촉진을 위한 체계적 다공성을 지닌 생체활성 복합지지체 개발 2014 ~ 2017
8 기본연구지원사업 AMPK 신호제어 단백질 Cereblon 에 의한 심장 및 미토콘드리아 기능 증진 연구 2015 ~ 2018
9 지역대학우수과학자 지원사업 아연 이온에 의한 미토콘드리아 기능 조절 2015 ~ 2018
10 차세대응용오믹스사업 융복합기술기반 심혈관 3D 모델 개발 2015 ~ 2020
11 원천기술개발사업 생체모사환경 기반 혈액줄기세포 체외 배양system 개발 2015 ~ 2020
12 보건의료기술연구개발사업 스캐폴드 제작 및 관련 바이오리액터 개발/배양 2016 ~ 2019
13 과학기술국제화사업 한러 해양바이오 기반 생리 활성물질 개발 2017 ~ 2019
14 기본연구지원사업(후속연구) 세레블론에 의한 신규 심장 칼슘채널 조절의 기전 및 심부전 치료 연구 2018 ~ 2021
15 중견연구사업 운동에 의한 당뇨병성 심근병증 치료의 분자적 조절기전 2018 ~ 2023

환경·산업의학연구소

본 연구소는 우리 인간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및 산업보건 분야의 제요인들 즉 유전적 요인, 생물학적 요인, 물리․화학적 요인, 생활습관 및 건강행태 요인, 사회문화적 요인, 환경 및 산업보건 의료체계 등에 관련한 연구와 보건사업을 수행하여 생활환경 개선, 질병예방, 건강유지 및 증진과 사회생활에 대한 능률의 향상에 기여하고 나아가 환경 및 산업의학 발전과 지역사회 봉사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인제대학교 백병원 직업환경의학과 및 건강관리과, 인제대학교 산업보건센터와의 협력체계를 공고히 구축하며, 효율적인 연구활동, 보건사업,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과 훈련 및 국제 교류사업을 수행한다.

  • 연락처
    TEL. 051-890-5932 / 051-890-5933FAX. 051-895-7040
  • 위치
    (614-735)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진사로 83번길 81

연혁

1979.03

  • 연구소 설립, 우리대학 최초 연구소, 우리나라 2번째 산업의학 연구소

2008.04

  • 환경·산업의학연구소로 명칭 변경

역대 연구소장 현황

1979.03 ~ 1982.03

  • 초대 소장 : 전종휘 박사

1982.04 ~ 1987.02

  • 2대 소장 : 김준연 박사

1987.03 ~ 1994.02

  • 3대 소장 : 이채언 박사

1994.03 ~ 2006.02

  • 4대 소장 : 문덕환 박사

2006.03 ~ 2008.02

  • 5대 소장 : 김정호 박사

2008.03 ~ 2010.02

  • 6대 소장 : 김대환 박사

2010.03 ~ 2014.02

  • 7대 소장 : 이종태 박사

2014.03 ~ 현재

  • 8대 소장 : 이채관 박사

구성 및 조직

자문위원

환경/산업의학연구소 자문위원의 성명, 소속에 대한 안내입니다.
성명 소속
이종태 대한산업보건협회
김정만 대한석면안전관리협회 고문
문찬석 부산가톨릭대학교 산업안전보건학과
유병철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Chisato Mori 일본 지바대학교 의과대학
양원호 대구가톨릭대학교 보건안전학과
강성구 인제대학교 정년교수
한돈희 인제대학교 정년교수
김건형 직업환경의학연구소
유성진 대만국립보건원
박흥재 인제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운영위원

환경/산업의학연구소 운영위원의 성명, 소속에 대한 안내입니다.
성명 소속
이채관 부산백병원 직업환경의학과, 환경산업의학연구소
김정호 부산백병원 직업환경의학과
손병철 부산백병원 직업환경의학과
김대환 해운대백병원 작업환경의학과
서춘희 부산백병원 직업환경의학과
예병진 부산백병원 직업환경의학과
류지영 해운대백병원 작업환경의학과
정성욱 부산백병원 건강관리과
박동윤 환경산업의학연구소

주요사업(활동)

내부사업

  • 부산백병원 직업환경의학과 및 건강관리과 사업 연계 수행
    - 사업장 작업환경측정 시료 분석
    - 유해물질 노출 근로자 특수건강검진 시료 분석
  • 직업환경의학과 전공의 교육과 실습
  • 환경 및 산업보건 관련 학과 학생 교육과 실습

외부사업

  • 자원순환시설(소각장) 주변 지역 환경평가와 주민 건강영향조사
  • 석탄화력발전소 주변 지역 환경평가와 주민 건강영향조사
  • 산업단지 주변 지역 주민 유해물질 노출실태와 건강영향조사
  • 국민환경보건기초조사
  • 어린이환경보건출생코호트
인문의학연구소 사이트

인문의학연구소

한국은 근대 서양에서 유래한 의학과 더불어 동아시아의 전통 한의학이 현실 속에서 공존하고 있는 사회이며, 이러한 모습은 세계적으로도 특수한 상황이어서 전 세계 학자들의 관심과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또한 한국은 현재 건강과 생명에 관한 시민적 관심과 요구가 점증하고 있는 사회이며, 이에 따라 현실 사회에 대한 인문학적 이해와 분석을 바탕으로 한 실천적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인제대학교 인문의학연구소는 이렇듯 복잡다단한 한국적 현실을 기반으로 2007년 8월 1일 설립된 연구소로서 동서고금의 세계관이 만나고 충돌하고 화해하는 접점으로부터 '건강한 삶을 위한 인문학적 비전'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출범하였습니다. 아울러 한국적 전통과 현실의 경험을 바탕으로 이를 학문 및 실천의 장으로 이어가기 위한 '한국적 의료인문학'의 창출과 보편화를 핵심 과제로 삼고 있습니다.

  • 기관장
    박지영
  • 연락처
    TEL. 051-890-8677
  • 위치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복지로 75, 701호 인문의학연구소 (개금동, 인제의대)

연혁

2007

  • 08.

    인제대학교 부설 인문의학연구소 설립

    초대 소장, 인문의학교실 강신익 교수 취임

  • 11.

    한국학술진흥재단(현 한국연구재단) HK유망연구소 선정(3년)

2013

  • 09.

    제2대 소장, 한국학부 엄국현 교수 취임

2014

  • 09.

    한국연구재단 2014년도 인문도시지원사업주관연구소 선정(3년)

2016

  • 09.

    제3대 소장, 인문사회의학교실 김택중 교수 취임

2019

  • 01.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과 학술교류 협약

2021

  • 06.

    대한의사협회 연구과제 '2000년 의사파업 연구' 연구기관 선정(2년)

2024

  • 08.

    제4대 소장, 인문사회의학교실 박지영 교수 취임

구성 및 조직

의료인문학(Medical Humanities)은 인간의 생명, 건강, 질병 및 치유와 관련된 모든 총체적 현상으로서의 의(醫)를 다루는 인문학입니다. 그리고 의료인문학의 주제 영역으로서 오늘날 비교적 잘 확립돼 있는 세 가지 주요 분야로는 의사학(醫史學), 의철학(醫哲學), 생명의료윤리학이 있습니다. 인문의학연구소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산하에 의사학·의철학 연구부와 생명의료윤리 연구부를 설치하였으며, 이와 더불어 학문의 실천적 장을 확보하고자 의료사회문화 연구부를 추가 설치하였습니다.

주요업무

현대의학 및 의료에 대한 다양한 인문학적 접근과 조망을 통해 현대사회와 의료계가 안고 있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학문적 실마리를 찾고자 합니다.

  • 의사학
    • 한국근현대의학사, 서구의학사, 백인제 연구, 이태석 연구
  • 의철학
    • 정신의학, 생물철학
  • 생명의료윤리학
    • 생명윤리, 임상윤리, 전문직업성

주요사업(활동)

  • 관련 학계와의 소통 및 연구자 네트워킹, 자체 연구 역량 강화
  • 후속 학문 세대 양성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