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지방대학활성화사업 통합워크숍 개최
인제대학교 의과대학은 1월 23일(목)부터 24일(금)까지 지방대학활성화사업 통합 워크숍을 개최하였다. 이번 워크숍은 의과대학 통합 6년제 교육과정 개편, 학교운영체계 개편, 교수역량 강화 등을 논의하는 자리로 마련되었다. 첫째 날, 노혜린 교수는 인제의대 사명체계 개발 연구 결과를 발표하며 의과대학의 비전과 목표를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어서 교육평가위원회의 박찬선 교수와 오민경 교수가 인제의대 교육평가시스템 구축 현황을 발표하며, 향후 발전 방향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또한 김영석 교수는 ASK2026 평가인증 준비 계획과 함께 영역별 변경사항, 통합 6년제 교육과정 개편 현황을 설명하였다. 특히,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이승희 교수를 초청하여 통합 6년제 교육과정 개편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는 뜻깊은 시간을 가졌다. 이 교수는 통합 6년제 교육과정이 각 의과대학의 교육 목표와 상황에 따라 변화의 정도와 방향이 다를 수 있으며, 단순한 변화가 아니라 의학교육을 업그레이드할 중요한 기회로 볼 수 있음을 강조하였다. 둘째 날에는 서울의대 이승희 교수와 함께 교수역량 정의 및 수준별 역량 단계 개발을 위한 워크숍이 진행되었다. 이후 김영석 교수와 윤보영 교수가 학교 운영체계의 현황을 공유하고, 개편 방향과 관련하여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는 시간을 가졌다. 아울러, 장기발전 계획수립 현황을 점검하고 향후 계획을 제안하며 지속적인 발전을 모색하는 논의가 이어졌다. 이번 워크숍을 통해 인제대학교 의과대학은 교육 혁신과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방향성을 재정립하는 계기를 마련하였으며, 향후 더욱 체계적인 교육 및 운영 시스템을 구축해 나갈 예정이다.
2025학년도 임상실습개선워크숍
인제대학교 의과대학은 2025년 1월 16일(목)부터 17일(금)까지 해운대 도시공사 아르피나에서 임상실습개선 워크숍을 개최하였다. 본 워크숍은 의학과 3, 4학년 학생들의 임상실습과 학생인턴 교육과정을 담당하는 교수들이 교육과정을 설계하고, 지침서를 개발하며, 평가방법을 개선하기 위해 매년 열리고 있다. 올해는 핵심 및 필수 선택 임상실습의 주책임교수와 실습담당교수 등 62명이 참석하였다. 첫째 날, 최석진 의과대학장의 인사말을 시작으로 ▲2024학년도 의학과 3학년 임상실습 경험과 교육평가 모니터링 결과(교육평가위원장 박찬선 교수) ▲인제의대 사명체계 개발 결과 보고(의학교육학교실 노혜린 교수) ▲통합 6년제 교육과정에서 임상실습의 개편 방향과 의견 수렴(일산백병원 내과 윤보영 교수) 등의 발표가 진행되었다. 또한, ‘EPA를 바탕으로 개발한 전공의 수련교육과정과 임상실습과정 사례’를 주제로 일산백병원 내과 윤보영 교수의 특강이 있었다. 둘째 날에는 ▲임상실습에서 임상추론 교육(백중앙의료원장, 의약부총장 이병두 교수) ▲임상실습 담당교수에게 유용한 포트폴리오 메뉴, 임상실습 포트폴리오 설정 방법(세타랩 이산들)의 발표가 이어졌다. 최석진 학장은 올해 의과대학 학생 복귀 여부에 따른 2025년 학사 일정과 임상실습 일정에 대해 공유하였다. 본교는 매년 학생 설문조사를 통한 임상실습 평가 결과를 분석하여 내실 있는 임상실습 환경을 조성하고자 지속적으로 워크숍을 개최하고 있다.
2025 일본 규슈의대 해부실습 체험수기
20221717 정승훈 20222250 한창희 20222934 백시원 20223205 황서영 20224994 이유진 1. 지원 동기 예과 2학년 때 해부 실습을 돌이켜보면 거의 이론학습과 실습을 동시에 했었기에 스스로 아쉬웠던 몇몇 부분이 있었습니다. 따라서 이번 실습을 통해 시간과 체력의 부족으로 인해 실습 때 이해가 부족했던 부분이나 그때는 간과하고 넘어가 애매했던 부분들을 채워 넣고 싶었습니다. 또한 한국과 일본은 의료 시스템과 문화적 배경이 다르기 때문에 일본의 의학 교육과정과 실습 방식을 경험함으로써 학문적, 문화적인 시야를 넓히고 싶은 마음에 지원하게 되었습니다. 2. 규슈대학교 의과대학 2-1. 실습동 해부실습을 진행하는 건물로 규슈 대학에서의 대부분의 시간을 이곳에서 보냅니다. 2-2. 도서관 규슈의대의 도서관은 입구에서 몇가지 서류를 작성하면 들어갈 수 있습니다. 원래는 입출입 카드를 주셨다고 했는데, 저희 때는 신분증만 가지고 가서 해외 의대에서 왔다고 하면 간단한 서류를 작성하고 들어갈 수 있었습니다. 안에는 책을 보관하는 곳과 자습할 수 있는 공간이 있는데 넓고 쾌적해서 시간이 남으시는 분들은 여기에서 시간을 보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특히 규슈 대학은 원래 제국대학이었기 때문에 엄청 오래된 의학 자료들이 많이 보관되어 있습니다. 꼭 한번쯤 방문하시어 1800년대 작성된 해부일지와 논문 같은 자료들을 보고 오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2-3. 학교식당 학교식당은 실습 동 안에 있으며 오후 실습 전 시간이 애매할 때 많이 이용했던 곳입니다. 자기가 먹고 싶은 메뉴를 들고 카운터에 가서 계산하면 되는 구조입니다. 메뉴가 다양하고 가격도 적당해서 한번쯤 와서 드셔 봐도 좋을 것 같습니다. 3. 해부 실습 3-1. 해부 시작 전 일본의 해부실습은 한국과 비슷하면서도 많은 부분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제일 큰 장점은 해부실습 시 필요한 준비물들을 일회용으로 학교에서 제공해준다는 것이었습니다. 실습에 필요한 앞치마, 장화, 팔 토시 등을 일회용으로 실습 때마다 새로 제공해주어서 쾌적하게 실습에 집중할 수 있었습니다. 일본에서는 본격적으로 해부실습을 시작하기 전 몇몇 그룹의 학생이 앞에 나와서 당일 실습에 대한 발표를 진행합니다. 일본어였기 때문에 다 알아듣지는 못하였지만 구조물과 해부 방법에 대한 것을 ppt와 함께 간략하게 설명해줍니다. 이후 학생의 발표가 끝나면 교수님들께서 발표에 대한 보충설명과 해부할 구조물과 관련된 임상적인 부분들을 설명해 주시는데, 동영상을 통해 눈 사시 수술 같은 임상적인 부분을 보고 해부에 들어가니 어떤 식으로 구조물을 확인해봐야 할 지 더욱 명확하게 머릿속에 그려졌던 것 같습니다. 이후 묵념을 하고 해부를 시작하는데, 규슈 의대는 한 학년이 150명 정도 되고 24개의 조로 나뉘어 각 조에 4명씩 실습을 하게 됩니다. 한국과 다르게 각 조의 인원을 2명은 상반신 다른 2명은 하반신 파트로 나누어 동시에 해부를 진행합니다. 저는 상반신 파트를 진행하였었는데, 일본에서는 머리부분의 sagittal plane을 확인하기에 한국 실습에서 자세하게 보지 못했던 부비동과 귀 속 부분 눈의 뒷부분 등을 자세히 볼 수 있어서 개인적으로 상반신 파트를 추천 드립니다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생화학교실 예성수 교수, 한국실험혈액학회 회장 취임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생화학교실 예성수 교수가 2025년 한국실험혈액학회(Korean Society of Experimental Hematology) 회장에 취임했다. 한국실험혈액학회는 2013년 실험혈액학 연구의 저변 확대와 중개연구 활성화에 뜻을 같이하는 기초의학자와 임상의학자들이 모여 ‘한국실험혈액학 연구회’로 시작한 이후 활발한 활동을 해 왔으며, 2017년 학회 승격을 거쳐 올해 13년차에 이르렀다. 한국실험혈액학회의 설립 목적은 혈액질환을 대상으로 삼거나 혹은 비혈액질환에서 혈액원을 활용한 다양한 형태의 중개연구 발전을 위하여 학술활동을 지원하고, 회원 상호간의 유대강화를 도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매년 심포지움과 워크숍 개최를 통해 많은 임상연구자들과 기초연구자들의 교류와 협력의 장으로서 역할을 해왔다. 예성수 교수는 “한국실험혈액학회는 기초의학과 임상의학의 소통과 교류를 바탕으로 중개연구를 활성화함으로써 상호 협력을 통한 질 높은 연구 수행으로 의학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라고 밝혔다. 임기 3년의 회장으로 선출된 예 교수는 기초의학 연구자로서 혈액 및 면역 세포 신호전달 연구의 전문가이다. 2011년에는 우리 대학 최초로 Science 지에 주저자로서 논문을 발표하는 등 우수한 성과를 올린 바가 있으며, 최근에는 관련 질환의 치료제 개발 등의 중개연구 수행에 매진하고 있다.
심혈관대사질환 치료제 공동 연구개발을 위한 MOU 체결
경남김해강소특구, 인제대학교 심혈관·대사질환 핵심연구지원센터, 약물 유전체 기반 정밀 맞춤의학 선도기업 (주) 에스피메드와 심혈관대사질환 연구 협력 위한 MOU 체결 2025년 1월 23일, 경남김해강소특구, 인제대학교 심혈관·대사질환 핵심연구지원센터(이하 심혈관대사센터)와 약물 유전체 기반 정밀 맞춤의학 선도기업 (주)에스피메드가 심혈관대사질환 치료제 공동 연구개발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인제대학교의 글로컬대학 이니셔티브의 일환으로 진행되었으며, 두 기관 간의 협력을 통해 심혈관대사질환의 치료와 예방에 획기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MOU 체결식은 경남김해강소특구, 심혈관대사질환센터 한진 센터장과 (주) 에스피메드 신재국 대표가 참석한 가운데 진행되었으며, 양 기관은 공동 연구 프로젝트 추진 및 약물 유전체 기반 신기술 개발을 위한 협력 프레임워크를 확립했다. 이번 파트너십의 핵심은 심혈관대사센터의 심혈관 연구 전문성과 (주) 에스피메드의 약물 유전체 기반 기술의 융합에 있다. 두 기관은 서로의 기술과 지식을 공유하고, 심혈관질환 해결을 위한 혁신적인 약물 개발을 목표로 협력할 계획이다. 또한, 이 협력은 연구에서의 과학적 발견을 실제 환자 치료로 신속히 전환하는 과정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진 센터장은 "이번 협약을 통해 심혈관·대사질환 치료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 확신한다"며, "양 기관의 협력을 통해 한국을 넘어 전 세계적으로 심혈관대사질환 퇴치에 큰 기여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신재국 대표는 "에스피메드는 약물 유전체 기반 기술을 활용하여 환자 맞춤형 치료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번 협력을 통해 심혈관대사질환 분야에서도 획기적인 성과를 이끌어낼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양 기관은 이번 협약을 계기로 심혈관대사질환 치료 분야에서의 협력을 강화하고, 이를 통해 환자들에게 보다 나은 치료 옵션을 제공하며, 글로벌 시장에서도 경쟁력을 갖춘 치료제를 개발할 계획이다.
2024년 12월 인제의대 교원 연구논문리스트 (연구처 업적 등재기준)
▶ 최종작성일: 2025년 1월 14일 ▶ 2024년 12월(12.1.~12.31.) 인제대학교 연구처로 업적 등재된 의과대학 교원 논문 리스트 입니다. (월 1회 업데이트) ▶ 논문명을 클릭하면 원문을 보실 수 있는 화면으로 연결됩니다. 구독 저널에 한정하여 FullText 이용가능합니다. 단, 교외에서 논문의 Full Text를 보기 위해서는 반드시 의학도서관 홈페이지(medline.inje.ac.kr)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 ▶ 저자가 연구처에 업적을 등재한 시점을 기준으로 한 리스트이기에, 업적등록을 하지 않은 경우 해당 리스트에 누락 될 수 있습니다. 누락된 경우 관련 담당자(교내 ☎ 6680 / libparkhw@inje.ac.kr)에게 Original Article을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No. 저자정보 논문정보 소속 1저자 교신저자 제목 저널명 1 기생충학교실 주기백 - Combinatorialtreatment of praziquantel and curcumin reduces Clonorchis sinensis infectionand clonorchiasis-associated pathologies in rats Pharmaceutics 2 기생충학교실 주기백 - Dose sparingenabled by immunization with influenza vaccine using orally dissolving film InternationalJournal of Pharmaceutics 3 약리학교실 - NGUYEN PHUOC LONG Regulation ofhost metabolism and defense strategies to survive neonatal infection Biochimica etBiophysica Acta - Molecular Basis of Disease 4 부산백병원 소화기내과 - 문석준 Thirty-DayMortality of Persistent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Bacteremia: Insights from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YonseiMedical Journal 5 부산백병원 신경과 지기환 HealingThrough Sleep: The Need for Hospital Sleep Medicine in Korea SleepMedicine Research 6 부산백병원 신경과 강미리 지기환 Prevale
2025학년도 교육과정개선워크숍 개최
의과대학은 2025년 1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3일간 해운대 아르피나 2층 그랜드볼룸에서 교육과정개선 워크숍을 개최하였다. 본 워크숍의 목적은 본교 교육과정의 각 책임교수 및 부책임 교수들이 참여하여 우리 대학의 교육방향, 교육내용, 과정설계방침 등에 관한 이해를 바탕으로, 과년도 교육과정 평가 결과를 수정 보완하여 2025학년도 교육과정을 설계하고 교육방법 개발 및 학습평가방법을 개선하기 위함이다. 첫째날은 최석진 학장의 인사말을 시작으로 ▲교육과정평가 결과보고 (교육평가 위원장 박찬선 교수, 해운대백병원 내과) ▲2025학년도 통합교육과정 운영 계획안 (의학교육혁신센터장 지기환 교수) ▲인제의대 사명체계 개발 결과 보고 (노혜린 교수, 의학교육학교실) ▲학습관리프로그램(LMS) 사용법 안내 (의학교육정보지원실장 이원진 교수, 부산백병원 마취통증의학과)순으로 프로그램이 진행되었다. 둘째, 셋째날에는 의예과 2학년부터 의학과 2학년까지 모든 통합교육과정(의학입문, 세포의 구조와 기능, 움직임의 구조와 기능, 생명유지의 구조와 기능, 뇌의 구조와 기능, 사회와 건강, 생애주기와 건강, 의사역량계발과정, 인체반응과 병태생리, 감염, 임상표현과 병태생리, 이태석기념과정, 혈액과 종양, 소화기, 심장순환기, 호흡기, 신장과 요로계, 내분비/영양, 여성건강, 소아청소년건강, 근골격계, 신경계, 행동과 정신건강, 의사과학자 기본과정, 의료인문과정, 진료역량개발과정)의 과정성과, 수업계획서, 실습계획서, 수업시간표, 과정별 학습평가법 등을 개선·검토하고 수정·보완하는 작업이 진행되었다. 이번 워크숍에는 통합교육과정 책임 및 부책임교수와 보직교수 75명이 참여하였다.
심혈관·대사질환 핵심연구지원센터, 에이아이메딕과 심혈관·대사질환 연구 협력 위한 MOU 체결
인제대학교 심혈관·대사질환 핵심연구지원센터(이하 심혈관대사센터)와 AI/디지털트윈기반 심장영상분석, 진단 선도기업인 에이아이메딕(AIMEDIC)은 심혈관 및 대사질환 연구개발 협력을 위해 2025년 1월 7일 센터에서 양해각서(MOU)를 체결하였다. 이번 협약은 인제대의 글로컬대학 이니셔티브의 일환으로 추진되었다. 이날 협약식에는 심혈관·대사질환 핵심연구지원센터 한진 센터장과 에이아이메딕 심은보 대표가 참석해 MOU에 서명하였으며, MOU에는 공동 연구 프로젝트 추진, 데이터 공유, 핵심 심혈관 질환 해결을 위한 AI/디지털트윈 기반 신기술 개발 등의 협력 프레임워크가 명시되었다.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심혈관대사센터의 심혈관 연구 전문성과 의료 분야에서 AI기반 딥러닝 및 디지털 트윈 기술에 대한 에이아이메딕의 혁신적인 기술이 결합됨으로써, 과학적 발견을 개선된 환자 치료로 전환하는 과정이 가속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양 기관은 이번 협력이 한국을 넘어 세계적으로 심혈관·대사질환 퇴치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는 긍정적인 전망을 내놓았다.